<p></p><br /><br />전국 곳곳이 올 여름 벌레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도심, 하천, 집 가리지 않고 바글바글거려 곤충의 습격이라는 말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의 현장 카메라 시작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네처럼 생긴 이 벌레. <br> <br>수십 개 다리를 꿈틀거리며 떼로 뭉쳐 다니는 노래기입니다. <br> <br>[이동기 / 청주시 방역반장] <br>"제가 15년 방역업무를 했는데, 올해같이 벌레가 많은 건 처음입니다. <br> <br>어느새 집안까지 들어왔습니다. <br> <br>빗자루로 몇 번 쓸기만 해도 금세 수북하게 쌓입니다. <br> <br>"이거 보세요 화장실. 특히 이런 데 많아요. 이거 다 노래기. 다 살아있어요.” <br> <br>살충제를 뿌려도 그때뿐. 번식력이 너무 세서 다음날이면 같은 장소에 또다시 무더기로 출몰합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노래기에 집을 뺏긴 기분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[서옥화 / 충북 청주시 석화리] <br>"소름이 끼쳐 가지고 잠도 못 잤어요. 눈만 감으면 걔네들이 기어다니지. <br>(방 안에 들어와요?) <br>한번은 울었어요. 너무 힘이 들어서. 냄새가 엄청나요. 비위가 상해서 아침에 밥을 못 먹어.” <br> <br>[김철웅 기자] <br>"노래기는 도심까지 침범해왔습니다. 옆에 있는 하천에서 아파트까지 올라온 걸로 추정되는데요. 계단 곳곳에 노래기가 떼로 모여 있습니다. 이렇게 건드리면 몸을 말아서 악취를 냅니다.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매일 아침 사체를 치우는 일이 두 달째 반복되자 주민들 스트레스는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"이 벽 타고 올라가요. 2층에도 많이 올라가요. 테라스 있는 데 있죠.” <br> <br>농촌에서는 급증한 해충으로 인해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제주도의 한 친환경 감귤 농장. <br> <br>두 달 전부터 나뭇가지 끝이 말라붙더니 어느새 수십 그루가 말라 죽었습니다. <br> <br>이 알락하늘소 때문입니다. <br> <br>[권순화 /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 연구사] <br>"이 구멍에 알을 낳게 되는 거죠. 부화한 유충이 안에서 터널을 뚫고 다니면서 목질부를 갉아먹고 성충이 된 후에 나오는 과정에서 나무 밑동에 구멍이 생기는 거죠.” <br> <br>나무가 고사되기 직전에야 피해를 알아차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. <br> <br>접근 방지용 석회를 나무에 두르고 트랩을 설치해봐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[권순화 /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 연구사] <br>"손으로 잡는 법 이외엔 방제법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.” <br> <br>제주도 감귤 농가 27곳이 알락하늘소의 공격으로 수확에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. <br> <br>[김성민 / 감귤농장 주인] <br>"갑자기 엄청난 속도로 증가할 거라고 생각 못했는데, 이러다가 정말 폐원이 될지도 모르겠단 두려움을 갖게 됐고. 내년에 폐원할 수도 있겠다." <br> <br>전국 곳곳이 벌레와의 전쟁을 벌이는 이유, 지난 겨울이 유독 따뜻했고, 근본적으로는 한반도가 지구 평균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더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온도가 높아지면 해충 번식력은 높아지지만 조류 같은 천적은 그대로라 균형이 깨지는 겁니다.<br> <br>[조점래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] <br>"우리나라가 아열대성 기후가 되고 있으니까 벌레도 발육 속도도 빨라지고, 자손이 훨씬 많이 생깁니다. 해충이 아니었던 것이 해충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요." <br> <br>[김철웅 기자] <br>"지금 제주도 감귤 농가는 모두 알락하늘소와 전쟁 중입니다. 이렇게 귤이 잘 자라고 있다가, 하루아침에 가지가 말라붙고 수십 개 구멍이 뚫리면서 나무가 고사합니다. 더 큰 문제는 당장 대책이 없고 내년엔 개체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. <br>현장카메라 김철웅입니다.” <br> <br>woong@donga.com <br>PD : 김종윤 석혜란 <br>그래픽 : 정혜인